'매우'장기간 또한 '무기한'적으로...;;; 컴퓨터를 '못 합니다.' 왜 그러지는 아실겁니다.
전 한국 '국민'입니다.

2010년 4월 17일 토요일

백 투 더 퓨쳐의 모순점..

안녕하십니까?
이태민입니다.

백 투 더 퓨처.. 처음에는 그냥 재밌다고 해서 다운 받고 재미없을까봐 썪여두다 시즌1, 2, 3를 다 봤다.
'시간 여행'이라는 80년대 영화인데..
당시 이론상으로 설명할 수 없어 설명이 유치하지만 '평행 이론' 즉, '평행 우주'가 나와 '닥터후'를 연생키해서 나름 괜찮았다.
넋을 놓고 본다면야 재미있게 볼 수 있는 영화이다.
하지만 영화 자체의 모순점이 매우많다.
80년대 영화이기도 하고 '러셀'처럼 수준 높은 '퀄리티'도 없기 때문이다.

박사의 개 '아이슈타인'이 1분후 '미래'에서 다시 나타났는데 이의 값을 x라고 가정하자면 x값이 1분에 나타난다면 그 당시 평행적 x에서는 x가 1개이다.
x가 시간 여행을 한 시점에서 세상이 사라지고 1분후의 세상이 존재하는게 맞기 때문에 x의 값은 모순된다.
시즌2에서의 x의 값은 '시간의 흐름'을 받았다.
하지만 1에서의 시간 이동 실험에서는 x의 값이 사라지지 않고 존재함으로 미래로 여행을 했다.
여기서 x의 값은 시간의 흐름을 받지 않았다.
x의값은 평행적 우주론을 적용시켜 가정하자면 x의값은 '평행적 시간'으로 움직여야한다.

하지만 닥터후의 모순점은 드라마 비평가 역시 찾아보기 매우 어려울 정도로 수준이 매우 높다.
시즌 1에서의 시간적 흐림이 시즌 4에서도 나오고 3에서 나왔던게 5까지 흐르기 까지한다.
시간은 球라는 것을 생각한다면 닥터후의 '떡밥크리'는 엄청나다.
'배드울프'의 시간적 흐름이 그 중 하나의 예이다.
이 시간적 흐름때문에 시즌 전체의 흐름이 흐른다.
또한 줄처럼 이어지고 球처럼 어떤 한 지점이 없기까지하다...
닥터후를 시즌1 부터 스페셜과 함껙 극장판.. 또한 올닥... 그리고 현재 시즌5까지 보고 있는 사람이라면 내가 무슨 말을 하는건지 알것이다.
닥터후를 보면 '러셀'에게 감탄을 하게된다..
But, 시즌5때 부터 작가니 PD니 다 바겼으니 원..
and 출연자도.;;;;
제길.;


감사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